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자막추출하기

shaheen 2010. 8. 24. 19:27

자막을 smi로 바꾸기

의견 1.

dvd 자막화일 추출은 subrip 이나 vobsub 으로 가능합니다.

전 vobsub 을 사용하기 때문에.. vobsub 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우선 vobsub 을 인스톨하시고 시작->프로그램->vobsub 의 경로로 가시면 vobsub configure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걸 실행하시고, Open 을 눌러 dvd 파일의 .IFO 확장자파일을 찾아서 불러옵니다.

파일을 불러오면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라는 창이 뜨는데, 저장하실 폴더를 선택해서 확인을 누르시면 Select PGC 라는 창이 뜹니다.

이 창에서 네개의 레터박스가 보이는데요, 밑의 레터박스는 건드실필요가 없고, 위의 레터박스의 오른쪽박스를 보시면 여러가지 자막이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불필요한 자막들은 추출하지 않으셔도 되니까, 그냥 english( 영어공부한다셨으니..)를 제외한 자막들을 선택해서 <-- 버튼으로 버립니다.

그리고 english 를 선택하신후에 ok 버튼을 누릅니다.

Ok 를 누르시면 바로 추출작업창이 뜨게 됩니다.

추출은 고사양에서는 약 1 분정도, 저사양이라면 약 5~10 분정도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추출된 자막은 txt 가 아니라 .idx 와 .sub 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걸 다시 smi 나 txt 로 저장하실려면 vobsub resync 의 기능이 필요합니다.

시작->프로그램->Vobsub 의 경로로 다시 찾아가셔서 subresync 를 실행합니다.

여기서 Open 을 눌러서 .idx 나 .sub 파일을 불러옵니다.

이제부터 약간의 노가다가 필요합니다;

글자 하나하나를 쳐 주셔야하는데.. 영어의 경우는 쉽습니다.

어차피 글자라고 해 봤자 a~z 까지 25 개 밖에 없으니 25 번과 숫자 몇개만 끄적거리면 금방 끝납니다.(한번 타이핑한 글자는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한글의 경우는 정말 노가다가 필요하겠죠;?

여튼 이런방법으로 smi 로 저장하신후에, 메모장으로 열어서 자막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의견 2. DVD에서 자막을 뽑는 방법을 말씀하시는군요.

이것은 DVD리핑의 전반적인 과정을 아셔야 합니다.

내공이 0이라서 답변을 안 드릴려고 하다가

한국어를 가르친다는 얘길 듣고 간략하게 나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소개하는 유틸리티는 이곳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doom9.org/software.htm

 

 

1. DVD미디어를 DVD롬에 넣고 DVD Decrypter를 사용해서 DVD에서 IFO,VOB파일을 뽑아냅니다. 이때 옵션에서 용량 단위로 파일 쪼개기를 해제하셔야 합니다.

 

2. VobSub를 까시고 깔린 폴더 내에서 VobSub Configure 이것을 실행하시고 Open 클릭, 그리고 파일 형식에서 ifo를 골라주시고 위에서 출력된 IFO파일을 선택 하신 후 원하시는 언어만을 선택하신 후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확장자가 SUB,IDX 로 저장되었을 겁니다.

 

3. 이 SUB, IDX파일을 SMI로 바꾸는 과정을 꼭 거치셔야 하나요? SUB 자막으로도 KMPlayer 같은 동영상으로 자막으로의 역할이 가능합니다. 드라마라 하신다면 분명 편수가 많을텐데 SUB자막을 버튼 하나 눌러서 뚝딱 SMI 로 바꾸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단 방법에 대해서도 궁금한데 왜 굳이 자막을 뽑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DVD에 영어 자막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냥 DVD를 재생시키고 자막 부분에서 한국어만 선택해 주면 될텐데... 일단 어떤식으로 강의를 하시는 지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제가 좀 더 쉬운 방향을 제시해보겠습니다.

 

4. 일단 SUB를 SMI 자막으로 바꾸는 과정에 대해서 얘기해 보자면, 역시 VobSub 설치 폴더에 가시면 subresync 라고 있습니다. 이것을 실행 하신 후 SUB자막을 불러옵니다. 자 이제부터 노가다의 시작인데 보시면 크게 나오는 문자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글자 단위도 아니고 자음 모음 단위이죠. 왜 이런가 하면 SUB 자막은 자체가 글자 정보를 포함 한게 아니라 이미지 정보만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SUB에 "ㄱ" 이라는 것은 기억이 아니라 저렇게 생긴 모양일 뿐입니다. 여튼 그렇게 자막의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씩 입력해 줘야 합니다. 모두 다 하셨으면 SMI로 저장을 합니다.

 

5. 여기서 끝난 게 아닙니다. SMI 자막을 메모장으로 열어보시면 자음 모음이 분리되어있는 자막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안녕하세요" 같은 경우 "ㅇ ㅏ ㄴ ㄴ ㅕ ㅇ ㅎ ㅏ ㅅ ㅔ ㅇ ㅛ" 라고 되어있죠. 이것을 일일히 모두 다시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정말 보통 일이 아닌거지요. 보통 이때의 수정은 "한방에~"나 "Subtitle Workshop"같은 프로그램을 씁니다. 이것은 네이버에서 검색하시면 나올겁니다.

가장 먼저 DVD 비디오 타이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복사하기 위해 DVD Decrypter를 실행합니다. 기본적인 Mode가 File로 설정되어 있으면 위와 같은 화면처럼 나타납니다.

하지만 우리가 DivX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꼭 Mode를 IFO로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혹 File 모드로 DVD 비디오 타이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데이터의 경우 Auto Gordian Knot(이하 AUTOGK)에서 파일을 불러드릴 수가 없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File 모드와 IFO 모드는 확실하게 차이가 있습니다. 1번에서 메인 영상 즉 영화 데이터에 대한 파일 선택하고 원하는 챕터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작업하시는 DVD 비디오 타이틀 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Stream Processing 탭에서는 해당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오디오, 자막 데이터를 좀더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무시하셔도 됩니다. 1번에서 영화 영상의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2번의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디렉토리를 설정한 후 3번의 Decrypt 버튼을 클릭합니다.

Decrypt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디렉토리에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합니다. DVD 비디오 타이틀의 용량과 DVD 드라이브의 성능에 따라 5분에서 20분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창이 나타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설정한 디렉토리에서 DVD 비디오 타이틀에서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렇게 하여 여기까지 한가지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이용하여 가장 중요한 DivX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ivX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 AUTOGK를 실행합니다. 복잡한 듯 하지만 매우 간결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1번에서 DVD input을 체크해 줍니다.

번의 Input directory에서 디렉토리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폴더 찾아보기 창이 나타납니다. 위에서 DVD Decrypter로 작업하여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디렉토리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3번의 Output File에서 디렉토리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하여 저장할 DivX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Input directory에서 하드디스크로 복사된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면 4번의 Audio track에는 해당 DVD 타이틀에 포함되어 있던 오디오트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ivX 파일 변환시 원하는 오디오 설정을 선택합니다.

5번의 Subtitle track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을 선택합니다.

6번의 Output size는 DivX의 용량을 설정하는 곳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을 선택합니다.

DivX 변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7번은 영상의 크기, 사용할 코덱, 오디오 설정, 자막의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Subtitle Options의 Use external subtitles를 체크하면 나타나는 메시지로 추출된 자막은 이용해서는 기본적인 플레이어에서의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입니다. idx, sub의 자막파일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SMI 파일로 변환하거나 DirectVobSub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총 7가지의 설정을 모두 맞추고 나면 위의 화면처럼 Add Job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해당 변환 작업을 하기 위해서 Add Job 버튼을 클릭합니다.

Add Job 버튼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처럼 Job queue란에 작업이 추가되고 Start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작업을 하기 위해서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작업을 시작하면 Log Window를 통해서 현재의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젠 모든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죠 ^^;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제가 강좌를 작성한 시스템에서는 총 5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정말 지루한 시간이죠... 하지만 프로그램 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복잡한 과정을 배치모드로 한번에 해결해 주기 때문에 일일이 하나 하나의 과정을 해주어야 했던 예전보다는 상당히 편해진 작업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